Surprise Me!

[뉴스분석]작은 의자 앉은 김영철…18년 전과 딴판

2018-06-02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을 만났습니다. <br> <br>김 부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큰 봉투에 담긴 '김정은 친서'를 전달했는데요. <br><br>자세한 이야기 정치부 곽정아 기자와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질문1)두 사람 간 만남에서 단연 화제를 모은 건 의자였다면서요? <br><br>그렇습니다. 백악관에서 공개한 사진입니다. 차 앵커는 김영철 부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의자가 좀 다른게 보이시나요? <br><br>네. 한 눈에 보기에도 모든 게 달라보입니다. <br> <br>우선 크기가 아주 다르죠. 트럼프 대통령은 아주 크고 푹신한 의자에 앉아 있고, 김영철 부위원장은 작은 의자에 앉아 있습니다. <br><br>18년 전 조명록 인민군 차수가 군복을 입고 당당한 모습으로 클린턴 대통령을 만날 때와는 다른 모습입니다. 보시다시피 당시에는 같은 크기의 의자에 앉았습니다. <br><br>질문1-1)의자 크기뿐만 아니라 태도에서도 차이가 나죠? <br><br>그렇습니다. <br> <br>우선 김영철 부위원장,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있습니다. 손윗사람을 만날 때처럼 공손한 모습이기도 하고, 또 어떻게 보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를 하는 것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. <br> <br>반면 조명록 인민군 차수는 왕별을 단 차수 군복을 입고, 편안히 기대 앉은 모습입니다. <br> <br>이유가 궁금하실텐데요. 18년 전과 지금 모두 북미 관계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건 같지만 지금은 트럼프 특유의 협상력이 변수입니다. <br> <br>최근에도 회담 취소를 언급한 적이 있었죠. 다시 말해 대북 제재 해제와 경제 지원 등을 이끌어내야 하는 북한으로선 저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는 현실인 겁니다. <br><br>질문2)친서를 주고받는 장면도 공개됐는데 문재인 대통령에게 전달됐던 친서와는 다르네요? <br><br>문 대통령이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에게 받았던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는 파란색 서류 파일 형태였습니다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을 상징하는 금박의 엠블럼이 앞에 박혀 있었는데 이번 친서에도 흐릿하게 같은 엠블럼이 보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크기에서 차이가 납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된 친서는 하얀색의 대형 봉투에 담겨 있었는데요. 강렬한 인상을 주기 위한 것이다, 최고존엄의 편지를 구길 수 없기 때문이다 등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백악관은 비밀경호국을 통해 봉투 속에 독극물 등 위험한 물질은 없는지 면밀히 검사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질문3) 김영철 부위원장과 비교되는 북한 인사가 있다는데 누굽니까? <br><br>바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인데요. 어제 남북고위급 회담 내내 기세등등한 모습이었습니다. <br> <br>특히 우리 취재진에게까지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는데요. 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[리선권/ 북한 조평통 위원장] <br>(회담 전) "아주 잘될게 분명하지. 기자 선생들은 잘 안되길 바라오?" <br>(회담 후) "점심식사도 못 한 사람에게 자꾸 뭘 그렇게 문의하냐" <br><br>회담장에서도 기선제압은 계속됐습니다. <br> <br>회담 전체를 공개하자고 기습 제안하면서 기자 선생들이 다 있게 하자, 아니다 효율적으로 하자, 서로 왈가왈부 하다가 오늘은 양보하지만 다음에는 공개하자. 이렇게 됐는데요. <br><br>4.27 정상회담 때 김정은 위원장을 수행했을 때와는 사뭇 다른 모습입니다. <br> <br>김영철 부위원장과 리선권 위원장. 회담 상대와 장소 등에 따라 180도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워싱턴과 판문점 회담에서 잘 보여준 것 같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